티스토리 뷰
이탈리아 와인 등급 4가지 배워보기.
이탈리아 와인 등급은 공식적으로 1963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탈리아 농무부(The Italian Ministry of agriculture, MIPAAF)에서 등급을 관리하고 있으며 포도 품종, 수확량, 양조 방법, 숙성 기간 등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10년에 EU 규정에 맞게 변경된 이탈리아 와인 등급 배워보겠습니다.
1. 이탈리아 와인 등급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Grantita).
DOCG는 정부가 지역과 원산지에 따라 보증하는 최상위 등급의 와인입니다. 여기서 '최상위 등급'이라는 것은 품질에 대한 등급이 아니라 생산지의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한 와인이라는 것을 나라가 보증한다는 것입니다. 와인 병마다 정부에서 감독한 일련번호를 표시하여 보증합니다. 이 등급은 1973년에 만들어졌으며, 아래 등급인 DOC를 10년 이상 유지하면 DOCG 등급으로 승격이 가능합니다. DOCG 등급 중에서는 3대 와인으로 손꼽히는 마시 코스타세라, 카르페니말볼티, 반피 끼안띠가 유명합니다.
2. 이탈리아 와인 등급 DOC(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이탈리아 와인의 두 번째 등급인 DOC는 DOCG보다 한 단계 아래이지만 품질이 뛰어난 고급 와인입니다. 이탈리아 와인 등급 가운데 DOCG와 DOC는 프랑스의 AOC에 해당합니다. 1963년에 처음 만들어진 DOC 등급에는 바로 아래 단계 등급인 IGT를 5년 이상 유지해야 승격되는 와인들이 해당합니다.피에몬테(Piedmont)주에서 DOC 등급 와인을 가장 많이 생산합니다. DOCG와 달리 와인 병에 일련번호를 붙이지 않습니다. 이 등급에서는 이탈리아 북부 베테노 지역에서 생산하는 스파클링 와인인 프로세코가 가장 인기 있습니다.
3. 이탈리아 와인 등급 IGT(Indicazione Geografica Tipica).
IGT는 4 단계 등급 가운데 중간 단계로 프랑스 와인 등급 가운데에서 VDP와 같은 등급입니다. DOC 규정에 해당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와인부터 독자적인 스타일의 고급 와인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생산지의 특징은 지키면서도 포도 품종이나 블랜딩 방식은 자유롭게 제조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와인들입니다. 그때문에 보다 평준화된 맛과 향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리슬링 품종으로 만든 캐빗 리슬링, 여러 품종을 다양하게 섞어서 만든 로스카토 로쏘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4. 이탈리아 와인 등급 VDT(Vino Da Tavola).
VDT는 이탈리아에서 생산하는 와인들 가운데 약 40%를 차지하며, 지역 명칭이 없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테이블 와인들을 말합니다. 지역과 품종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제조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향과 맛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카베르네 쇼비뇽이나 메를로 등을 블랜딩 해서 새로운 와인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VDT에서는 로제와인이 인기가 많습니다.
이탈리아 와인은 프랑스와 더불어 구세계 와인을 대표합니다. 또 이탈리아는 세계 2위 와인 생산국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DOCG와 DOC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자국에서 생산된 포도 품종만을 사용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관리와 통제를 받습니다. 지금까지 이탈리아 와인 등급 배워봤습니다.
'와인 설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와인 특징 살펴보자 (0) | 2022.12.23 |
---|---|
와인 라벨 읽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2.12.22 |
프랑스 와인 특징 알아보자 (0) | 2022.12.21 |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살펴보자 (0) | 2022.12.20 |
프랑스 와인 등급 배워보기 (0) | 2022.12.19 |